Trade News | February 18, 2021

미디어

바스프 슬렌텍스 소재, 한국바스프 울산 공장에 고성능 단열재로 사용되며 첫 산업 적용 가능성 입증

  • 우수한 불연성 및 유연성 지닌 바스프 슬렌텍스(SLENTEX®) 소재, 세계 최초로 산업 분야에 적용
  • 단열재 신규 적용으로 공장 장비의 단열재 하부 부식(Corrosion Under Insulation, CUI) 감소에 기여

 

2021년 2월 19일 –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의 고성능 단열재 슬렌텍스(SLENTEX ®)가 울산에 위치한 바스프 공장에 적용되어 처음으로 산업 분야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. 뛰어난 유연성 및 불연성으로 건설 분야에 주로 활용된 슬렌텍스 단열재가 한국바스프 울산 공장의 400 제곱미터 규모 상당의 내부 배관, 밸브, 플렌지(flange)에 적용되었다.

 

에어로젤(aerogel) 소재 솔루션인 슬렌텍스는 다른 에어로젤 대비 균일한 표면 및 두께와 단단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. 또한 기존 소재보다 30~40% 얇은 두께로도 동일한 단열 성능을 내는 등 다양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. 이를 이용해 슬렌텍스는 공장 장비에 와이어를 사용해 쉽게 감싸 설치할 수 있으며, 뛰어난 열전도율(19 mW/m*K)을 지녀 에너지 효율성 및 불연성 특징을 확보했다.

 

한국바스프 울산 공장의 유선정 공장장은 "공장의 기계와 보조 장비에 대한 유지비 절감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철강 및 금속 장비가 환경적 요인으로 받는 악영향을 방지하고, 단열재 하부 부식(Corrosion Under Insulation, CUI)에 의한 배관 유지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” 라며, “슬렌텍스의 나노 크기의 투과성 에어로젤 구조와 소수성(hydrophobic) 표면이 갖는 발수성 및 수증기 확산 덕분에 배관에 수증기 응결 현상이 줄어들고 내구성이 증가해 공장 비가동시간을 감소하고 운영 및 유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”라고 밝혔다.

 

바스프 아태지역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문 건설 부문 비즈니스 총괄 로힛 고쉬(Rohit Ghosh) 사장은 “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슬렌텍스의 고성능 특징은 제조업 및 건설업 단열재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”라며, “산업용 배관 외에도 극저온 및 해운업 적용을 검토 중이며, 아시아에서는 일본 주택 건설 업체 호쿠슈 (Hokushu)의 주거 프로젝트인 신규 패시브 하우스(Passive House)의 외단열재로 슬렌텍스가 채택되었다”라고 강조했다.

 

한편, 슬렌텍스는 창틀 외단열재, 주거 빌딩 바닥용 내단열재, 내부 벽 및 실내 어린이용 수영장 바닥 단열재 등으로도 사용된다. 슬렌텍스에 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 

바스프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 소개

바스프의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는 혁신적인 맞춤형 플라스틱에 대한 소재 개발을 담당한다. 어플리케이션 기반 시스템 솔루션 기술을 바탕으로 운송, 건설, 산업용 어플리케이션, 소비재 등 네 개 주요 산업 부문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바스프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는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과 솔루션에 기반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, 글로벌 R&D 역량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제품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·생산하고 있다.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는 2019년 60.6억 유로의 매출을 기록했다. 바스프 퍼포먼스 소재 사업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 www.plastics.basf.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 

바스프 그룹 소개

바스프는 화학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글로벌 화학기업이다. 바스프는 경제적 성공뿐 아니라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긴다. 바스프 그룹에 근무하는 전 세계 약 11만 7천 명의 임직원이 거의 모든 산업 분야 및 국가에서 고객의 성공을 지원하고 있다. 바스프 그룹은 화학 제품, 원재료, 산업 솔루션, 표면처리 기술, 뉴트리션 & 케어, 농업 솔루션의 6개 분야에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. 바스프는 2019년 약 590억 유로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바스프 주식은 독일 프랑크푸르트(BAS) 및 미국에서 미국주식예탁증서(BASFY)로도 거래되고 있다. 바스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.basf.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김나리
과장, 대외 홍보, 마케팅 커뮤니케이션
마지막 업데이트February 18, 20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