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디어
바스프의 ‘제품 탄소발자국 완전 자동화 산정 시스템,' TÜV 라인란드 인증 획득
- 바스프만의 선구자적 제품 탄소발자국 자동 산정 시스템의 신뢰성 입증
- 45,000 개 전 제품에 대한 구체적 탄소발자국 제공으로 고객의 탄소중립 목표에 기여
2023 년 10 월 13 일 –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의 제품 탄소발자국(Product Carbon Footprint, PCF) 산정 및 보고 시스템이 국제적 인증 기관인 독일의 TÜV 라인란드(TÜV Rheinland)로부터 *지속가능성을 위한 연대(Together for Sustainability, TfS)가 요구하는 모든 충족 기준에 부합하며 인증을 마쳤다.
최근 점점 더 많은 고객사가 바스프로부터 구입한 원료∙소재에 대해 보다 정확한 탄소발자국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, 바스프는 업계 최초로 TfS 기준에 맞춘 완전 자동화된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시스템을 구축해 이러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게 되었다.
TfS 에 참여하고 있는 바스프를 비롯한 47 개의 화학기업은 2022 년 말까지 제품 탄소발자국 계산을 위한 글로벌 표준에 합의했다. 제품 탄소발자국은 밸류 체인 내 탄소 배출량 감축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. 바스프는 제품 탄소발자국 계산을 통해 자사가 생산하는 각 제품의 구체적 배출량에 대한 투명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, 바스프의 고객은 바스프 전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정보 및 TÜV 인증이 포함된 TfS 준수 보고서를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.
바스프 지속가능성 담당 크리스토프 야켈(Christoph Jäkel) 부사장은 "자동화된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지원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"며 "바스프는 TfS 기준을 충족하며 45,000 개 전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"고 말했다.
TÜV 라인란드 지속가능성 매니저 수잔네 요헤(Susanne Jorre)는 "바스프는 TfS 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전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에 필요한 전체 시스템을 구축한 최초의 기업이 되었다”고 전했다.
한편, 올해 3 월 친환경 국제인증 ISCC+를 획득한 바스프의 국내 생산시설인 여수 및 온산 공장은 첫 바이오매스 밸런스 **MDI 및 폴리아미드(PA) 66 제품을 최근 국내 및 아태지역 고객에게 인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했다. 바스프의 바이오매스 밸런스 제품은 기존 제품과 성능이 동일하면서도 탄소 배출량은 낮은 것이 특징으로, 이 두 제품 역시 TÜV 라인란드 인증을 마친 신뢰성 높고 구체적인 탄소발자국 수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. 바스프는 낮은 제품 탄소발자국의 제품을 지속 공급하며 고객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예정이다.
*지속가능성을 위한 연대(TfS)는 글로벌 공급망 내 지속가능성을 평가, 감사 및 개선하기 위해 화학업계가 설립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이다. 해당 이니셔티브는 Responsible Care® 및 유엔 글로벌 콤팩트(UN Global Compact)의 원칙을 준수하며, 아시아, 북미 및 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조직으로 성장했다.
**MDI(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,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)는 폴리우레탄의 핵심원료로, 자동차 내외장재, 냉장고 단열재, 건축자재, LNG 선 보냉재, 의류용 스판텍스, 신발 등 우리 일상생활의 다양한 제품에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.
바스프 그룹 소개
바스프는 화학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글로벌 화학기업이다. 바스프는 경제적 성공뿐 아니라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긴다. 바스프 그룹에는 전 세계적으로 11 만 1 천명 이상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, 거의 모든 산업 분야 및 국가에서 고객의 성공을 지원하고 있다. 바스프 그룹은 화학 제품, 원재료, 산업 솔루션, 표면처리 기술, 뉴트리션 & 케어, 농업 솔루션의 6 개 분야에서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. 바스프는 2022 년 약 873 억 유로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바스프 주식은 독일 프랑크푸르트(BAS) 및 미국에서 미국주식예탁증서(BASFY)로도 거래되고 있다. 바스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.basf.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.